본문 바로가기

프로그래밍/ETC

블록체인이란

블록체인

정보를 블록이라는 단위로 저장하여 블록들을 체인형태로 묶은 저장기술

블록

  • 헤더에 블록 정보와 이전 블록의 해시(hash pointer)를 가짐
  • 해시를 가지기떄문에 앞에 어떤 블록이 와야하는지 알 수 있음( 블록의 순서를 결정할 수 있음)

블록 높이

  • 이전 블록이 아래, 최근블록이 위로오도록 sort하면 블록이 생성될때마다 높이가 증가
  • 블록의 순서 = 높이라고함( 첫번째 블록은 편의상 높이를 0)

블록 생성 주기

  • 블록생성 시간: 다음 블록을 생성하기까지 걸리는 시간
  • 블록생성 주기: 생성 시간이 비교적 일정한경우

합의(Consensus)

  • PoW: 계산이 어려운 문제를 풀어 제안자격을 취득
  • PoS: 플랫폼 토큰을 보유한 양과 기간에 따라 결정적으로 또는 확률적으로 취득
  • BFT: 정해진 순번 또는 정해진 확률에 의해 취득

public vs private

퍼블릭과 프라이빗의 구분은 블록체인에 다음을 수행할수 있는지 확인하여 결정됨

  • 누구든지 블록을 자유롭게 읽을 수 있는가?
  • 자격 취득없이 정보를 블록체인에 기록할 수 있는가?

블록체인의 정보가 공개되어 있고 누구든지 정보를 기록할 수 있으면 퍼블릭, 정보가 공개되어 있지 않고 자격이 있는사람만 정보를 기록할수 있으면 프라이빗

permissionless vs permissioned

네트워크 참여가 제한된 경우 permissioned, 그렇지 않으면 permissionless

네트워크 참여란?

  • 합의에 참여 넓은 의미로는 블록체인 p2p 네트워크에 참여